관리 메뉴

iscu_univ

SCU 핫이슈 <물가상승>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요즘, '물가상승'의 원인 알기 ! 본문

SCU 온라인방송국/오늘의 이슈

SCU 핫이슈 <물가상승>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요즘, '물가상승'의 원인 알기 !

서울사이버대학교 2011. 7. 4. 21:13


10년 전, 100원으로 아이스크림을 사먹던 시절, 기억하시나요 ??
  
지금은 하루가 다르게 오르는 가격에 더 이상 포장지에 '소비자희망가격'이라는 가격표도 사라지고,
갈수록 장보기가 힘들다 -
기름 값이 올라도 너무 오른다 -라는
어머니, 아버지의 한숨 소리만 남아 들려옵니다.


월급만 빼고 다 오른다는 요즘, 
물가상승이라는 기사는 뉴스나 신문에서 어렵지 않게 접할 수있죠.

통계청이 발표 한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 동향에 따르면
전 달(6월) 대비, 4.4%를 상승하며 6개월 째 꾸준히 4%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이 발표 한 소비자물가지수 증가율>



전 년도와 대비하면 올 해 물가 상승의 최고점을 찍고있는데요,
앞으로도 물가는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가계 부담을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합니다.

경제는 나아지지 않고 점점 어려워지는데
물가 또한 계속 상승세만 기록하고 있어서 서민들의 허리만 휘어지고 있죠.


특히나 월 초 전국을 위협했던 구제역 한파로
농수산물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들의 주 식품이었던
돼지고기, 파, 배추 품목이 과도하고 오르는 상황을 맞이
하게 되었습니다. 


 



그럼 물가상승의 주 원인은 무엇일까요 ??

물가상승의 주 원인으로는
총 수요가 공급보다 크게 발생하는 경우,
원자재나 임금 등과 같은 생산비가 점점 상승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첫 번째,
총 수요가 공급보다 크게 발생하는, '초과 수요 인플레이션(demand pull inflation)'


초과 수요 인플레이션을 수요 인플레이션이라고도 하는데,
대표적으로 경기가 상승해서 과열단계에 달하고
국민경제적으로 보아 총수요가 총공급 상회하기 때문에 생기는 물가 상승으로
보통 경제의 성장과 동시에 발생하게 되는 경우 입니다.


두 번째,
원자재나 임금 등과 같은 생산비가 상승하는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cost-push inflation)'


비용 인상 인플레이션은 생산비용을 반영하는 공급측 요인에 의한 인플레이션으로
인플레이션을 일으키는 공급 측 요인으로는
임금인상이나 예상물가수준으 상승을 들 수 있습니다.

물가가 상승되면서 GDP가 떨어지는 현상으로
초과 수요 인플레이션과 반대되는 경제 침체를 야기 하는 것이죠.



물가 상승으로 통화가치가 하락 되면
토화 구매력은 낮아지고 물가는 더-더욱 상승하게 되는데요

안정적인 시장경제가 하루 빨리 찾아와
서민들이 웃는 날이 오길 바래 봅니다 !



Comments